맡은 일이 너무 많아서 한번 정리가 필요해보였는데
평소에 분단위로 진행사항들을 메모하고 있어서 여태 몰랐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들기 시작했다.
월말이 되어서 사례를 정리했는데 겨우 2주인 10일치 사례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회사만 8개쯤 나오는데 정리도 복잡하고 유지보수 따로 처리도 복잡했다.
정리를 마친 후 인터페이스 관련 내용을 영업팀 요청에 따라 전달했는데
이전 결과값을 전달해주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 확인하려고 했던 것 같고
이미 3주쯤 전부터 전달해서 요청했었고 2주 전과 이번주 회의 때도 언급했던 내용을 정리해서 전달했다.
어제 회의에 나왔지만 오늘로 연기되었던 일에 대해서 문의했는데
담당자분이 오늘은 바쁠 것 같아서 차주로 미뤘으면 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은 다음주에 하기로 했고
다우오피스를 통해 문서 결제를 하는 부분의 클래스를 확인해봤다.
한번 해보고 싶었던 금액 결제 부분이 아니라 서류 결제긴 했지만
그래도 이것도 한번쯤 해두면 좋은 경험일 것 같긴 했는데
중간에 프로젝트 관련 진행할 내용들이 들어와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먼저 처리해야 했다.
특이하게 postman으로 발송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SFDC 내부에서 발송할 때는 한국어가 들어가면 에러가 발생했는데
이게 한국어 때문인건지 아니면 해당 필드 관련 권한을 SFDC쪽에 할당하지 않은건지는 모르겠다.
해당 내용에 대해 정리하고 에러코드 내용의 사진과 안되는 두 파라미터에 대한 추측을 같이 전달한 다음
그사이에 예전 지원 프로젝트에서 운영 배포를 희망했는데 추가 요구사항이 있어서 해당 내용들을 수정했고
담당하는 분에게 문의한 결과 반영을 미뤘으면 하셔서 차주에 진행하기로 했다.
오늘자 사례까지 정리한 다음 등록하던 도중 개인적 사정으로 퇴사하시는 분의 송별회(?) 같은게 있었기 때문에
6시 30분쯤 마무리하고 퇴근했다.
(1).백준 17173번 배수의 합은 지정된 숫자까지의 숫자 중
추가로 제공된 숫자들의 배수인 경우 더해서 최종 결과를 구해야 하는 문제였다.
for문으로 n까지 진행시키고
해당 값을 다시 생성한 check 메서드에 전달해서 배열 내부에 해당 값의 배수가 있는지 체크한 다음
배수가 있으면 해당 숫자를 더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const input = `10 2
2 3`.split('\n').map(el => el.split(' ').map(Number))
let result = 0
const check = (num) => {
for(let i = 0 ; i < input[1].length ; i++){
if(num % input[1][i] == 0){
return true
}
}
return false
}
for(let i = 2 ; i <= input[0][0] ; i++){
if(check(i)){
result += i
}
}
console.log(result)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337(주말) (0) | 2024.06.02 |
---|---|
[개발일지] - 336(주말) (0) | 2024.06.01 |
[개발일지] - 334 (0) | 2024.05.30 |
[개발일지] - 333 (0) | 2024.05.29 |
[개발일지] - 332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