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바쁘게 작업을 시작했는데

중간에 인터페이스를 structure 방식으로 한다는 것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고

확인해본 결과 그냥 apex에서 wrapper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조금 더 엄격하게 형태를 다룬다는 정도의 차이만 있어보였다.

 

이건 rest 인터페이스 방식 중 json, xml 같은 방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본인들이 어떻게 데이터를 다루는지에 대한 이야기 같은데

이건 굳이 신경쓸 필요는 없어보이지만 일단 sap쪽에서 그런 방식을 쓴다는 정도로만 확인했다.

 

이후 홈페이지 인터페이스 관련 문의를 넣었는데

이미 운영쪽에 모두 인터페이스 연결 후 동작하는 상태로

우리쪽에서 문제가 없으면 이렇게 진행될 것 같다고 하는데

어드민분에게도 이대로 마무리 하는게 맞는지 문의드린 다음

추후 수정사항이나 에러가 발생할 경우 연락달라고만 하고 마무리했다.

 

이후 다른인터페이스 작업을 하려고 하다가

팀장님이 도와주신다고 해서 자바서버 관련 환경 세팅을 했는데

중간에 잠깐 커머스 관련 문의사항 답변한 부분을 제외하면

18시 31분까지 대략 7시간 이상 서버 세팅만 하다가 퇴근할 수 있었다.

 

 

(1).백준 28097번 모범생 포닉스는 각 간격 사이에 8시간이 포함될 때

총 작업 시간을 구해야 하는 문제로

개수에 8을 곱한 값에서 8을 뺀 숫자를 기본 값으로 넣어주고

작업 시간들을 모두 더한 값을 Math.floor와 %를 사용해서 일, 시간으로 분할 출력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const input = `3
10 11 11`.split('\n')[1].split(' ').map(Number)

let sum = input.length * 8 - 8

for(let i = 0 ; i < input.length ; i++){
    sum += input[i]
}

console.log(Math.floor(sum / 24), sum % 24)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520  (0) 2024.12.04
[개발일지] - 519  (0) 2024.12.03
[개발일지] - 517(주말)  (0) 2024.12.01
[개발일지] - 516(주말)  (0) 2024.11.30
[개발일지] - 515  (1) 2024.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