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포스 이전 관련사항 로그를 확인했는데

대부분 괜찮긴 하지만 일부 에러 로그들이 쌓여있었다.

 

관련된 전체 오그를 조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됐는데

오늘 왜 이렇게 바빠서 야근을 했는지 원인을 몰랐는데 이놈의 하이퍼포스가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오늘까지 제출해야 하는 년간 업무평가표를 일부 작성하다가

오후에 하이퍼포스 마이그레이션 관련 회의에 참여했다.

 

이후 주 고객사쪽에 밀린 업무들을 처리하고 싶었지만

기존 업무는 커녕 양쪽에서 신규 문의사항들이 쏟아져서 두쪽을 처리하는것도 버거웠다.

 

대부분은 SAP과 협력사에서 에러가 발생해서 생기는 문제였는데

로그 확인 요청에 대해서는 답변이 없었지만 한참 뒤 고객사에서 전화 후 잘못된 로그를 받았다고 했고

원하는 로그를 다시 넘겨주고 시간이 지나서야 특정 필드가 비어서 그렇다는 답변을 받았다.

 

로직이 정상적인데 왜 이런 에러가 나는지 또 한참 역추적을 하다보니

SAP에서 생성한 주문이 SFDC 개발서버로 올 때

이전에 추가해서 이후 단계 인터페이스에는 필수라고 설정해둔 값을

이전 단계에서 SFDC로 발송을 뺴놓고 그 데이터 기준 인터페이스를 하게 만드니 무조건 에러가 나는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해 수정 또는 필수 지정을 해제해달라고 요청한 다음 일단 이쪽은 할 수 있는 일을 다 했다.

 

이후 오너가 전부 마케팅쪽으로 할당되어서 수천개의 메일이 하나의 계정에 쏟아진다는 문의를 받았는데

기존 오토메이션으로 진행되는 웹 자동화 연결은 할당규칙이 작동했지만

인터페이스나 플로로 생성되는 경우에는 할당규칙이 작동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결국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리드가 생성될 때는 할당규칙이 작동하게 처리해줬고

해당 내용을 개발에서 테스트 후 정상작동하는 것까지 확인한 다음

모든 리드 생성에 로직을 적용하고 운영에 배포한 다음 테스트 후 고객사에 전달했다.

            Lead leadObj = new Lead(aField = 'xxx', bField = 'yyy');
            Database.DMLOptions dmlOptions = new Database.DMLOptions();
            dmlOptions.assignmentRuleHeader.useDefaultRule = true;
            leadObj.setOptions(dmlOptions);

 

그와중에 오늘까지 처리해야 하는 업무평가표가 있다는걸 오늘 오전에 알아서 작성해야 했는데

인터페이스 특성상 여러 프로젝트에 동원되는 일이 많아서 참여한게 너무 많다보니

얼마나 비중이 있었는지 참여 인원이 몇명이었는지 시작, 종료일이 언제인지 등

알 수 없는 정보들이 너무 많아서 작성이 쉽지 않았다.

 

어찌저찌 마무리하고 10시쯤 퇴근했는데

처리내용을 공유하고 끝났다고 생각하고 퇴근해버렸지만

업무평가표 제출을 까먹고 있어서 11시 50분에 부랴부랴 회사로 복귀해서 제출하고 다시 퇴근했다.

 

 

(1).백준 29751번 삼각형은 그냥 넓이를 구하는 문제였지만

그 와중에 첫째 자리를 필수로 표기해야 했기 때문에 오랜만에 toFixed를 사용했다.

 

알아서 반올림까지 해주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는데

간단한 문제지만 풀다 보면 이런 메서드들을 한번씩 생각나게 하는 매력이 있는 것 같다.

const input = `1 1`.split(' ').map(Number)
const area = input[0] * input[1] / 2
console.log(area.toFixed(1))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528  (0) 2024.12.12
[개발일지] - 527  (1) 2024.12.11
[개발일지] - 525  (1) 2024.12.09
[개발일지] - 524(주말)  (0) 2024.12.08
[개발일지] - 523(주말)  (0) 2024.12.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