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고증, 거래명세서를 생성해보려고 했는데
출고증은 잘 되지만 거래명세서는 되지 않았다.
이 부분은 다른분이 만드신 부분이라 뭘 해야 되는지 알 수 없었는데
해당 부분의 권한설정을 요청하니 다른 사용자 프로필에 적용해두고 테스트하셨었고
그 프로필과 비교해서 적용하라고 하셨다.
처음에는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고 들어갔는데
뭔 클래스가 2천개 가까이 적용되어있고
개체 설정도 수백개에 페이지 엑세스도 수백개였다.
Apex 클래스의 차이점을 엑셀에 넣고
비교 방법을 고민하다가 좌, 우에 넣은 다음 함수비교로 처리할 수 있었다.
애초에 소량에 기능 완전 분할이면 더 어렵겠지만
초대량에 소소한 기능 차이가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True/False의 경계선이 나타날 때마다
없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밀어버리면 다시 우르르 true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만 빠르게 찾아낼 수 있었다.
class를 적용하고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서
무슨 문제가 더 있는지 확인해보다가 개체설정에서 권한 허용 부분을 주목했고
다시 전체 드래그로복사한다음
true/false로 비교했는데
개체부분은 동일한 개체의 갯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쉬웠다.
다만 개체는 참고할 프로필보다 현재 프로필의 권한이 더 많은 것들도 모두 false로 나오기 때문에
해당 부분들까지도 우르르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 조금 더 귀찮았다.
그럴듯한 개체 설정부터 하나씩 권한을 동일하게 부여해도 끝까지 나타나지 않았는데
왜 안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해당 기능 모달까지는 잘 뜨다가
페이지 부분이 터져버렸기 떄문에 Visualforce 페이지 엑세스도 확인해봤다.
해당 부분에도 12개의 서로 다른 페이지들이 존재했는데
해당될 것 같은 페이지 하나만 먼저 적용했는데 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lass, 개체권한, visualforce 페이지 엑세스까지 3개를 모두 확인하면
다른 프로필의 접속 권한을 빠르게 옮겨올 수 있는 것 같다.
권한 처리 후 시나리오를 작성한 다음
api 관련 부분도 postman으로 날려서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내용의 변경 또한 시나리오에 넣어준다음 종료했다.
팀장님이 상당히 바빠보이셔서 저번주에 진행한 회의내용을 복습하고
해당 내용 중 처리할 수 있는 내용들을 처리하기로 했다.
가장 먼저 잡힌 일은 상대 회사에 처리 기준을 물어보고 처리하는 내용인데
내가 문의하게 될줄은 몰랐지만 기준을 알긴 해야 하고
진행은 아직 되지 않은 부분이라 과감하게 시도해보기로 했다.
(보안상 내용 생략)
(1).백준 11006번 남욱이의 닭장은 충격적이게도 다리가 하나씩 사라진 닭들이 발견되었는데
다리가 사라진 닭의 숫자와 정상 닭의 숫자를 구해야 하는 문제였다.
정상 닭의 경우 다리가 2개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다리의 갯수에서 머리의 갯수를 빼면 정상 닭의 마릿수를 구할 수 있고
닭의 숫자에서 정상 닭의 마릿수를 빼면 다리가 없어진 닭의 마릿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총 마릿수를 의미하는 head에서 정상 닭의 마릿수인 leg - head를 빼서 비정상, 정상 닭의 마릿수를 출력했다.
const input = `2
5 3
7 5`.split('\n')
const result = []
for(let i = 1 ; i < input.length ; i++){
const [leg, head] = input[i].split(' ').map(Number)
console.log(head * 2 - leg, leg - head)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42 (0) | 2023.08.11 |
---|---|
[개발일지] - 41 (0) | 2023.08.10 |
[개발일지] - 39 (0) | 2023.08.08 |
[개발일지] - 38 (0) | 2023.08.07 |
[개발일지] - 37(주말)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