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후 일정을 정리한 다음 부로 메인 프로젝트 필드 추가 및 문의사항을 정리했다.

 

이전에 인터페이스 발송 후 갑작스럽게 필수 필드라고 8개 정도가 추가로 더 들어왔는데

해당 문제가 아니라 postman 발송 자체가 제대로 오지 않았는데

Response 값 자체가 특이 형태인건지 postman이 받지를 못해서 시간이 더 걸릴 것 같았다.

 

해당 내용에 대해 문의 전화가 와서 확인 후

처리되고 다른 문의사항까지 같이 정리되면 알려주신다고 하고 넘어갔고

추가로 유지보수 문의가 들어온 내용이 있어서 해당 필드 전수조사를 시작했다.

 

20년도에 xx1, xx2~ xx40 같은 형태로 주석도 없이 생성된 필드들 정보를 내가 어떻게 아는지 의문이었지만

최선을 다해서 클래스, 필드, 개체 등 여러가지 내용들을 보다 보니

class들 중 일부 주석에서 필드 관련 기능에 대해 작성된 부분도 볼 수 있었고

미궁에 빠진 대부분의 필드의 경우 전체 레코드를 조회해보니 null값만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리 후 해당사항을 전달했고

그 다음에는 다시 필수 필드라는 것들을 정리 후 추가했는데

어느정도 정리가 된건지 발송 시도는 됐지만 아래의 에러가 발생했고

해당 내용을 처리하려고 하다가 갑작스럽게 다른 프로젝트 문의가 와서 보류하고 넘어가기로 했다.

PKIX path building failed: sun.security.provider.certpath.SunCertPathBuilderException: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담당하고 있는 다른 프로젝트의 경우 마감일에 대해 제대로 공지받지 못했고

정의서도 부실하게 임시라고 붙어서 왔기 때문에 미뤄둔 상태였는데

오늘 추가 필드들까지 붙여두고서 해당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가능한지 문의가 들어왔다.

 

애초에 아직도 정의가 부족한 상황에서 인터페이스 테스트를 당장 어떻게 한다는건지 황당했지만

영업팀에서 해당 인터페이스 우선순위가 다른 것들보다 높다고 하셔서 일단 이걸 먼저 처리하기로 했다.

 

안본지 2주 가까이 지났기 때문에 정의서, 개체, 요구사항, 이전 메일 등 전체 내용을 확인했고

정의서 내용에 따라 postman 발송 시도를 해서 일단 전송이 되는 것 같은 느낌은 받을 수 있었다.

 

인터페이스 진행을 class와 flow를 섞어서 하길 원했는데

특이한 flow만 링크 하나 보내주고 참고해서 해달라고 하셨고

해당 내용에 불필요해보이는 것도 많고 class 대체 등 문제가 많아서 해당 내용 파악도 50여분 걸렸다.

 

카운팅 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걸로 기준 ID를 삼으려는 것 같았고

해당 사항을 이용하기 위해 처리 로직을 추가하고 해당 로직에 이용할 수 있는 필드도 추가해줬지만

더 자세히 확인하니 인터페이스 정의서 자체가 완전히 달라서 굳이 필요가 없었다.

 

같은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받는 url 자체가 달랐기 때문에

기존에 있던 인터페이스들과 상호작용은 거의 다 할 수 없었고

새로 만드는 클래스 내부에서 대부분의 작업을 처리해야만 했다.

 

다시 전화가 와서 메인프로젝트내용을 재확인하고

발송 시도를 했지만 실패해버렸는데 아무래도 방화벽 문제로 추정되지만

해당 사항과 IP 목록을 정리해서 보내기에는 두번째 메인프로젝트 시간이 너무 촉박했다.

 

두번째 메인의 정의서 필드들 중 수정사항들을 정리한 다음 개발에 추가했고

Custom Setting을 생성해서 url, token 등을 설정했다.

 

조금 순조롭게 클래스를 만들어가고 있었는데 다시 또 유지보수에서 문의사항이 들어왔고

해당 내용을 무시하고 두번쨰 프로젝트만 끝내기에는 수요일이 쉬는 날이기 때문에 애매해서

결국 어쩔 수 없이 유지보수를 다시 먼저 처리해야 했다.

 

자꾸 들어오는 필드 문의사항을 답변해주고

SFDC가 아닌 홈페이지 개발쪽에서나 알 수 있는 정보를 자꾸 물어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객사에게 문의하라고 직접 고객사를 태그해서 전달했다.

 

중간에 Error authenticating with the refresh token due to: expired access/refresh token 에러가 발생했는데

해당 내용은 간단하게 vscode에서 재인증을 받고 재접속을 하면 됐지만

재접속을 하라는 내용이 없어서 인증만 한 상태로 이런저런 시도를 하다가

인터넷 검색을 통해 vscode 재접속을 하면 된다는 사실을 알고 복구할 수 있었다.

 

예전에는 이런 문제가 발생해서 vscode를 삭제 후 했었던 것 같은데

물론 그것도 껐다 키는 것과 같아서 해결은 됐었지만 좀 무식한 해결 방법이었던 것 같다.

개발자 중 한분이 Run All Test가 보이지 않아서 테스트를 할 수 없다고 하셨고

원인을 파악하려고 sfdc can not show isRunning test로 검색해보니

Salesforcedx-vscode-apex › Java: Memory에서 메모리 한도를 키워줘야 하는 문제였다.

 

저녁식사 후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완료할 수는 있었지만

발송 후 아까와 같은 에러가 다시 발행해서 결과값을 받을 수 없었다.

(PKIX path building failed: sun.security.provider.certpath.SunCertPathBuilderException: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

 

flow 내부에서 작동할 수 있게 class와 flow를 연결해주고

해당 내용이 정상 작동되지만 인터페이스 발송 부분에서만 에러가 터지는걸 확인하고

나머지는 내일 방화벽 해제 요청을 해서 해결하기로 하고 9시 40분쯤 마무리했다.

 

 

(1).백준 11466번 Alex Origami Squares는 주어진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 3개를 만들어야 할 때

가장 크게 만들 수 있는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를 구해야 하는 문제였다.

 

정사각형은 긴쪽으로 3개를 만들거나 2개, 1개가 삼각형 모양인 형태밖에 없기 때문에

긴 쪽을 기준으로 3개, 2개를 만들 수 있는 변의 길이를 구한 다음 Math.max로 비교해 출력했다.

const [min, max] = `250 100`.split(' ').map(Number).sort((a,b) => a-b)

console.log(Math.max(Math.min(min, max/3), Math.min(min / 2, max / 2)))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319(석가탄신일)  (0) 2024.05.15
[개발일지] - 319  (0) 2024.05.14
[개발일지] - 317(주말)  (0) 2024.05.12
[개발일지] - 316(주말)  (0) 2024.05.11
[개발일지] - 315  (0) 2024.05.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