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금요일에 예약했던 필드 제한 수정을 진행했는데
ERP, SFDC 필드가 각각 있고 개발, 운영 필드가 따로 있어서
총 8개의 필드를 수정해야 했다.
이후 연락처 생성 시 홈페이지연동 관련 고민을 했는데
기존 홈페이지 회원은 어떻게 처리할건지
홈페이지 회원과 SFDC의 차이가 있는 경우 어떻게 처리할지
그리고 체크는 어떤 방식으로 어떤 데이터만 어떻게 처리할지
여러가지 고민 후 선택지를 고객사쪽으로 전달했다.
중간에 다른 팀 팀원분이 js 관련 문의를 하셔서 같이 확인도 해보고
var, let, cont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볼 시간도 가졌고
AI 관련 트레일헤드 학습도 진행했다.
개발서버에서 납품 관련 테스트 에러 확인 요청도 처리했는데
이전부터 발송되지 않아 SAP쪽 서버가 닫힌 걸로 추정되었지만
내가 요청하기에는 권한도 없고 그쪽 비용청구 문제도 있어서 여태 운영에서 해야겠거니 했는데
고객사에서 본격적으로 이런저런 요청을 하실 것 같아서 내용을 정리해서 드렸다.
AI쪽은 사전 학습 내용이 많은데
자격증 관련 내용만 빠르게 해야 할지
아니면 전반적으로 다 읽어봐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된다.
중간에 알고리즘 스터디 미제출하신분에 대해서
이건 패널티를 줘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긴 했는데
혼자 정해서 주기에도 애매하고 패널티를 주려면 공식적으로 정하고 주는게 맞을 것 같은데
회의를 한번 열자고 하면 패널티나 푸는 문제의 등급 등에 대해 기준을 정하면 좋을 것 같다.
(1).백준 3449번 해밍 거리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냥 각 자릿수가 다른 경우에 카운트를 해서 원하는 포맷으로 출력하면 되는 문제로
for문 내부에서 각 자릿수를 한칸씩 이동하며 서로 다를 경우 count를 증가시키고
백틱 내부에 count를 변수로 넣어 result에 담은 다음 한번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const input = `4
0
1
000
000
1111111100000000
0000000011111111
101
000`.split('\n')
const result = []
for(let i = 1 ; i < input.length ; i+=2){
let count = 0
for(let j = 0 ; j < input[i].length ; j++){
if(input[i][j] != input[i+1][j]){
count++
}
}
result.push(`Hamming distance is ${count}.`)
}
console.log(result.join('\n'))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478 (1) | 2024.10.23 |
---|---|
[개발일지] - 477 (0) | 2024.10.22 |
[개발일지] - 475(주말) (0) | 2024.10.20 |
[개발일지] - 474(주말) (0) | 2024.10.19 |
[개발일지] - 473 (0)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