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하자마자 회의가 잡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회사 내 패키지인 다큐먼트 생성 기능을 바로 다우오피스와 연동하려는 목적 같았다.
회의 전 샘플로 이것저것 페이지를 넣었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대충 볼 수 있었고
내부 패키지에서 생성된 문서 또한 정상적으로 전달되긴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실제 내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접근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실제 테스트는 불가능했다.
회의는 예상대로 결재 연동 시 내부 패키지 활용 방안 협의 관련 내용이었는데
테스트 해본 내용들을 전달하고 패키지에서 리턴값만 잘 주면 될 것 같다고 확인해보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점심식사 이후 리턴값 전송 개발이 되는 동안
다우오피스에서 callback을 전달할 site를 생성했다.
처음에는 좀 당황스러운 부분이 많았는데
작년에 했던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기억도 있었고
샘플로 참조할만한 회사들이 있어서 postman으로 발송 테스트까지 완료할 수 있었다.
중간에 고객사에서 그룹웨어 설정에 대한 문의를 이제서야 했는데
사실상 저번에 요청한 내용을 되묻는 수준이라 요구사항을 축소해서 필수사항을 전달헀다.
문서 활용 테스트를 하려고 했지만 본서버에는 배포할 수 없고
패키지 개발 서버에서 테스트할 경우 데이터가 꼬일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org에서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3차 과제 때 사용한 org를 사용했는데
4시간 가량 걸려서 해당 내용들을 테스트해볼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rest 방식으로 결과를 내부에서 주고 받는 이상한 상태라 그런지
self 관련 에러가 발생해서 조회가 되지 않았는데
일단 postman에서는 정상적으로 조회가 되는 것을 보면 설정 문제 같은데
서버쪽 에러라고 출력되거나 콘텐츠 참조 관련 문제라고 하지만
이쪽에서는 코드에 들어있는 내용 자체가 거의 없어서 바로 문제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패키지 내부 코드를 확인할 수 없어서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미 8시가 넘어버려서 해당 내용을 포기했고
테이블이 깨지는 현상 등을 조금 더 확인해보다가
담당자분이 오셔서 해결되었는지 물어보셔서 에러내용을 공유드리고 8시 20분쯤 퇴근했다.
(1).백준 2693번 N번째 큰 수는 제목처럼 3번째 큰 숫자를 구해야 하는 문제였는데
간단하게 sort를 사용해서 정렬시킨 다음 3번째 큰 수의 index를 구해서 해결할 수 있었다.
이 문제는 10개라는 개수 제한이 있었지만 더 많은 숫자일 경우 length-3으로 해결할 수 있다.
const input = `4
1 2 3 4 5 6 7 8 9 1000
338 304 619 95 343 496 489 116 98 127
931 240 986 894 826 640 965 833 136 138
940 955 364 188 133 254 501 122 768 408`.split('\n')
const result = []
for(let i = 1 ; i < input.length ; i++){
const arr = input[i].split(' ').sort((a,b) => a-b)
result.push(arr[7])
}
console.log(result.join('\n'))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346 (0) | 2024.06.12 |
---|---|
[개발일지] - 345 (0) | 2024.06.11 |
[개발일지] - 344(주말) (0) | 2024.06.09 |
[개발일지] - 343(주말) (0) | 2024.06.09 |
[개발일지] - 342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