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자마자 인터페이스 맵핑을 마무리하려고 했지만

그 사이에 운영에서 해당 테이블이 사라져버려서 확인할 수 없었다.

 

해당 내용에 대해 요청사항을 남기고 인터페이스 필드 정의 등을 진행하다가

전달받은 내용을 확인하니 운영이 아니라 개발로 이전되었기 때문에

개발서버의 해당 테이블에서 해야한다고 하고 로그인 정보를 넘겨줬지만

해당 테이블 조회가 되지 않아 문의하니 권한이 아직 부여되지 않을 것이었다.

 

저번주에 처리되지 않았던 유지보수 관련해서 범위를 지정해주고

해당 데이터 외에 그 사이에 또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한 다음

SAP에서 정상적으로 발송했는지 로그 확인 후 레코드를 확인하고 마무리했다.

 

맵핑을 일단 이름 우선으로 진행하고 나머지를 찾아보고 있던 중

이상하게 전혀 관계없어보이는 이름이 이미 매칭된 이름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전부 다시 값을 뽑아서 비교해보니 황당하게도 여러개가 이름과 다른 필드에 매칭되었다.

(XX, YY, ZZ의 경우 xx__c = YY, yy__c = ZZ, zz__c = XX 형태)

 

일단 인터페이스는 3년 넘게 해당 값을 잘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가 필드명을 뜯어 고치기보다 본인들이 인식한 값에 매칭하는게 맞다고 생각했고

SQL 테이블의 값을 비교하며 전부 맵핑할 수 있었다.

 

중간에 이전에 몇번 사용해봤던 자사 ListBuilder 관련 질문도 받았는데

사용을 해봐서 얼추 답변이 가능하긴 했지만 인터페이스쪽도 아니고

해당 패키지를 만든 팀이 따로 있는데 왜 6~7개월이나 지난 시점에 문의가 들어오는지는 의아했다.

 

현재 진행되는 프로젝트 인터페이스를 SAP 쪽에서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발송 실시간 테스트를 해보고 싶다고 해서 같이 테스트를 진행했다.

 

생각보다 많이 시시하게 테스트가 금방 끝나버렸는데

삭제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으시는건지 자꾸 빈 배열만 넘어왔는데

해당 부분은 퇴근할 시점까지 마무리되지 않았다.

 

중간에 또 다른 회사 관련 문의가 들어왔는데

그쪽 개발에서 멋대로 api 주소를 바꿔놓고 왜 SFDC에서 전송이 안되는지 문의를 했다는데

개발하는 사람이 그게 할말인가 싶기는 헀는데

일단 담당한 사람들도 없는 3~4년 전 코드가 사방에 흩어져 있어서

하나하나 다 찾아서 경로변경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부분은 기존 경로에서 코드수정하는걸 권유했다.

 

맵핑을 완료한 다음 필요한 필드들을 전부 개발/운영에 추가해주고 저녁을 먹은 다음

생성, 수정, 삭제 기능 추가를 시작했다.

 

사실 Key라고 제공된 값을 기준으로 진행해야 하는게 맞지만

기존에 데이터를 밀어버리고 해도 된다고 하는 고객사의 말과는 다르게

연결고리를 잘 살펴보면 기존 개체들과의 Lookup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함부로 지우면 연결된 모든 개체들이 엉망이 될 수 있었다.

 

기존에 존재하는 key와 비슷한 유일한 값을 가지는 필드를 선정한 다음

일단 해당 필드를 기준으로 인터페이스가 되게 하고

나중에 마이그레이션이 끝나면 key 필드만 추가해서 external 값을 관리해야겠다.

 

 

(1).백준 27225번 Класс는 반에서 짝을 지정하는 문제였다.

 

짝이 있거나 혼자 있을 경우 공부 효율이 높다고 하는데

짝은 x, y 둘 중 최소값에 맞춰서 2배로 처리했고 혼자 앉는 것은 전체 인원이 홀수인 경우 1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인원에서 %2로 나머지 1 또는 0을 더해서 처리할 수 있었다.

const [x, y] = `5 
3`.split('\n').map(Number)

console.log(Math.min(x, y) * 2 + (x+y) % 2)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지] - 288(주말)  (0) 2024.04.13
[개발일지] - 287  (0) 2024.04.12
[개발일지] - 285(국회의원선거)  (0) 2024.04.10
[개발일지] - 284  (0) 2024.04.09
[개발일지] - 283  (0) 2024.04.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