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CSS 기초
1.CSS의 사용 목적을 이해한다.
2.CSS의 기본 문법과 구조를 이해한다.
3.CSS를 HTML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4.HTML 안에 CSS를 직접 정의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한다.
5.CSS를 이용해 텍스트를 꾸밀 수 있다.
6.CSS에서 쓰이는 단위를 기억하고, 각 단위가 적합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7.MDN 또는 w3school 등의 레퍼런스 사이트를 이용해 CSS 속성을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다.
Chapter2. 박스모델
8.CSS 박스 모델을 이해할 수 있다.
9.박스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margin, border, padding, content
10.박스 크기를 측정하는 두 가지 기준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Chapter3. CSS selector
11.다양한 CSS selector 규칙을 이해한다.
12.후손 selector와 자식 selector의 차이를 이해한다.
13.필요시 검색을 통해 필요한 selector를 찾아 적용할 수 있다.
1.css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정렬, 구분, 디자인면에서 문제가 생겨 제대로 이용할 수 없게된다. ui 뿐 아니라 ux까지 고려하는 개발자가 돼야 한다.
2.태그와 속성을 검색해 원하는대로 적용할 수 있다.
3.세가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주로 보통은 link.css를 이용해 빠르게 불러와 css를 입힐 수 있다.
4.html에 직접 적용할 경우 우선순위는 인라인>내부>외부 순이므로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내부 css를 이용하는 순간 인라인 css는 무시될 수 있다.
5.css를 이용해 해당 태그에 color를 입혀주며 사이즈, 폰트, 폰트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6.절대단위와 상대단위의 차이를 이해하고 있으며 되도록 단일 상대단위를 이용할 생각이다.
7.대부분의 구글 검색결과가 .MDN 또는 w3school 등의 레퍼런스 사이트로 나오기 때문에 반복문 코플릿때 부터 참고하고 있다.
8.박스 모델 내부의 박스모델 내부의 박스모델 마트료시카 박스모델은 무섭다. 박스를 구별할 수 있는 안경을 드림코딩에서 받았기 때문에 어느정도 박스 구별과 설정이 가능하다.
9.content는 내용물 그 자체이며 일반적인 상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제 그 content와 border(경계선)의 사이에 들어가는 padding, border과 외곽과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margin이다.
10.박스크기는 box-sizing: (border/content)-box 내부슬래시로 나뉜 두가지이며 일반적인 content는 border, padding까지 고려해줘야 하지만 border를 사용할 경우 할당한 값이 140인 경우 나머지 border, padding을 제외한 후 결정한다.
11.다양한 종류의 Selector(기본, 자식, 후속, 가상 등)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12.자식은 바로 한 단계 아래의 자식 (1촌)까지만 가능하지만 후손은 그 내부 전역을 포함한다.
13.필요시 MDN 또는 w3school 등 구글 검색을 통해 정렬된 selector를 확인 후 적용할 수 있다.
간단하다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적용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고 선택하는 방식 또한 수십가지가 넘어가서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선택 및 기능은 단순하며 또한 원하는 기능은 검색을 통해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었다.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CSS] 활용-2(계산기) (0) | 2022.05.04 |
---|---|
[HTML/CSS] 활용 (0) | 2022.05.03 |
복습(문자열, 반복문) (0) | 2022.05.01 |
복습(변수와 자료형, 조건문) (0) | 2022.04.30 |
[HTML] 기초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