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월요일부터 시작될 인턴십의 커리큘럼을 전반적으로 확인했다.
1주차에는 git, github, eslint, prettier, husky, githook, AWS, AWS S3, CRA, CI/CD, github actions
2주차에는 채용 트렌드 분석, 이력서 작성, 면접&비즈니스 매너, 현직자 Q&A
3주차에는 의존성배열, useEffect, React.memo, useCallback, useMemo, Context API, Clena Code, SRP, DIP, 횡단 관심사, Custom Hook
4주차에는 TypeScript, type guard, 타입 추론, generic, 전역 상태 관리, redux, flux
5주차에는 Software Testing, Unit Test, TDD, Jest, 실행 컨텍스트, 클로저, 스코프, 호이스팅
주차마다 진행되는 커리큘럼을 보면 결국 주차마다 아래와 같은 목표가 있다고 생각된다.
1주차에는 배포 및 협업을 위한 전반적인 기초에 대한 학습을 진행
2주차에는 취직을 위한 이력서와 면접 팁
3주차에는 성능 개선 및 코드 퀄리티
4주차에는 TypeScript 학습 및 상태관리
5주차에는 테스트케이스 작성 및 JavaScript 심화
기본적 리액트 및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진행될 과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기 어렵다.
이전 기수의 블로그 들을 확인하면 약 9개정도의 과제를 한다고 하는데
과제라고 진행했던 내용과 1~5주차에 학습하는 내용이 거리감이 있다고 생각된다.
올해 1월의 과제 진행을 보면
마크업, 환율계산기, 관리자페이지, 애니메이션, 파일쉐어 등이 있었고
8월 챌린지에서 강의에 대한 이야기는
리덕스, 클로저, state, 관심사 분리, 추상화, 폴더 구조, 타입스크립트 등에 대한 학습이 있다고 한다.
3,5주차는 확실히 개발보다는 개선을 생각하며 진행되는 것 같은데
단순히 동작만 하는 것이 아닌 더 좋은 코드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
뭔가를 준비한다고 하더라고 강의 내용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질 것 같고
의외로 redux-toolkit이나 recoil에 대한 상태관리 언급은 없으며
처음 들어보는 Flux라는 툴을 학습할 것 같다.
과정 전 뭔가를 미리 준비한다기 보다
매일 하던 학습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된다.
모레 월요일 오전 12시에 오리엔테이션이라고 하니 오늘부터 조금씩 기상시간을 조절해야겠다.
오늘도 10분이상 운동했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티드 인턴십 오리엔테이션 (0) | 2022.12.19 |
---|---|
아르헨티나 승리 (0) | 2022.12.18 |
원티드 인턴십 합격 (0) | 2022.12.16 |
무난한 하루 (0) | 2022.12.15 |
프로젝트 중단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