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30분이나 사용했는데
세부적인 디테일을 정하다보니 그렇게 오래 지난 것 같다.
일단 ppt는 미리캔버스에서 괜찮아 보이는 것으로 선택한 다음
스케쥴러 확인을 진행했는데 당황스럽게도 4개 중 1개는 되지 않았고
원인을 파악해보니 401에러가 출력되는 것을 보니 인증 문제 같아서
다시 인증을 진행해주고 개별 테스트를 하니 정상 진행되었고
스케줄러로 예약 후 4개 모두 잘 들어간 모습을 보고 00, 15, 30, 45분으로 예약을 하고 마무리했다.
스케줄 예약 관련 클래스의 주석을 수정하려고 했는데
이미 스케줄을 걸어서 수정이 되지 않았고
스케줄 관련 주석만 문제라면 상관없지만 다른 메서드도 호출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예약을 취소하지 않으면 전반적인 수정 과정이 막힐 것 같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예약된 스케줄들을 전부 취소할 수 밖에 없었다.
모든 내용을 ppt 작성 전 핵심 부분을 요약하니 아래와 같이 정리됐다.
초반 설명하면 좋은 내용 1.생성했던 필드와 사용한 필드(Stock__c(과제), ParentId__c, Family, ProductCode, Name, Id, LastModifiedDate)
2.B org와 4개 org 연결된 모습
3.사용된 클래스와 메서드
기능
1.동기화 확인 가능한 상품 페이지(생산 회사들의 재고를 유통 회사에서 받는다는 입장)
2.부분 동기화(전체 상품 동기화가 부담될 수 있어서)
해당 org 재고 확인 페이지 상품명, index, modifiedDate
3.4개 org 재고 확인 spa(유통회사가 1개와 연결되진 않았을 것 같아서)
4.스케줄 기능(과제)
5.전체 동기화(과제)
6.선택 내용 확인을 위한 선택 목록 테이블
7.상품검색
8.정렬
9.named credential
10.호버링
피드백 내용 추가
슈팅
1.5월 4일 pmd 미작동 원인이 경로상 한글(계정명)이 있음을 확인 후 해결
2.teams 레지스터 변경으로 인한 접속 오류 -> %appdata%\Microsoft\Teams 내부 파일 모두 삭제 후 재로그인
3.데이터 타입 처리 -> ()로 타입을 알려줘도 믿지 않아서 걸쳐서 처리한 내용
4.직렬직렬화 문제 => try catch로 이중 역직렬화 블레이크
5.직렬직렬화 문제 => rest api에서 객체가 아닌 JSON.serialize를 통해 사용한 문제 제로
6.체크박스 쿼리셀렉터 대안 찾기 => 우회해서 배열에 값 넣기 파이
7.named credential => null 문제 외국 도움? 이온
8.Access Restricted for API Only Users => vscode open browser 사용(부 관리자 등 설정 주의해야 함)
9.rest api 처리 안되는 문제 => mock 데이터 사용
10.cyclomatic complexity 문제 => wrapper 사용으로 부담 떠넘기기
11.id가 올바른 값이 아니라며 터지는 문제 => id 우회용 object 생성 후 삭제 천
12.wire에 값을 넣는 문제 => 일반, 객체형태 (컨스트럭터 1, wire2, 렌더xx등 순서)
(@wire(getProducts, {family : '$family', key:'$key'}) 등 여러개 가능)
(@wire(getProducts, {strObj : '$object'})
get object(){
return {family : this.showTemplate, searchKey : this.searchKey, order : this.order, sort:this.sort}
}
13.객체로 들어간 object 형태 변환 문제 => 형변환 코드 넣기
ppt를 열심히 작성하고 발표를 잘 마무리할 수 있었지만
조금 슈팅 부분이 지나치게 많고 과제와 연관되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도 있었기 때문에
다음에는 조금 중요한 부분만 진행해야 할 것 같다.
이전 과제 피드백은 사실
원화표시가 null일 경우 company info에서 나오지 않기 때문에 설정이 필요하다는 부분이었다.
(1).백준 17174번 전체 계산 횟수는 b진법과 유사한 느낌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숫자가 해당 자릿수만큼 되면 올려주고 그 자리에서도 b만큼 차면 다시 자릿수를 올려서
총 몇 번의 숫자 카운팅을 하는지를 묻는 듯한 문제였다.
현재 숫자를 더해준 다음 다음 자릿수로 넘어갈 숫자를 Math.floor로 구했고
해당 값을 다시 while을 통해 반복시키며 덧셈을 한 다음 count를 출력했다.
let [a, b] = '100 8'.split(' ').map(Number)
let count = 0
while(a > 0){
count += a
a = Math.floor(a/b)
}
console.log(count)